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행복4

죽기 전에 배워야 할 삶의 지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인생을 속도전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어차피 관심 없는 글이 될 게다.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 아닌 사람이 다 같이 어우러진 곳이 이 도시다. 도시는 사실 속도전에 알맞은 장소다. 모든 것이 빨리 돌아가고 효율성을 최고로 치는 곳이니. 그래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이런 장소에서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내려놓는' 것이다. 마음속의 욕심, 집착을 말이다. 그냥 다 내려놓는다... 뜨거운 것을 알면 계속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려놓으면 된다... 보통의 사람들은 뜨거운 삶을 살고 있다. 열정이 있고 꿈이 있다. 욕심의 큰 카테고리 안에 그러한 것들이 나름 긍정의 색깔을 가지고 반짝인다. 하지만 온전히 좋은 것들은 아니다. 희망, 바램 그런 것이 동기유발되어 사람을 발전시키고 움직이게 만들기.. 2023. 3. 20.
속도의 역설 - 급증하는 한국의 우울증 환자 오랜 시간이 지났다. 태어나 부모의 품 안에서 유아기, 청소년기를 겪었고 이후 독립하고도 한참의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분명히 해둘 게 있다. 지금 우리의 정신과 마인드를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타고난 성향 + 성장환경의 영향이다. 우리는 급속하게 발전한 한국의 국민이고 우리 앞 세대들은 정말 피땀 흘려 노력해서 가문의 부와 명예를 쌓고자 노력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걸 보고 자랐던, 그리고 그렇게 배웠던 우리 역시 그러한 의식을 대부분 자아 밑바탕에 깔아두고 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잠시 창 밖을 보면서 생각해보라. 최근 행복하다고 느낀 적이 많은가. 지금의 삶은 충분히 만족스러운가. 인생이 흘러가는대로 그대로 감사하며 살고 있는가. 나에게 다가오는 이 현실이 아름다운가 버거운가. 나보다 잘난 사.. 2023. 2. 2.
요사이 댓글들을 보면 ... 바람 좀 쐬어야 할 것 같죠? 우리는 예전보다 뉴스를 쉽게 검색하죠. 네이버를 열면 다양한 기사 타이틀이 우리 눈을 잡아 끕니다. 아마도 기자들에겐 매혹적인 타이틀 잡는 것이 셀러나 유튜버가 썸네일 잡는 만큼 중요한 것일테죠. 그런데 전반적으로 뉴스에는 사회의 어두운 면, 문제시 되는 면들이 많이 나타나요. 다양한 정치인, 셀럽들의 문제들도 폭로되죠. 보통 그런 문제들을 기자들은 우리의 일상, 우리의 어두움과 오버랩해서 글을 풉니다. 그러면 우리는 자칫 그 셀럽들에게 피해를 당한 사람들로 빙의되기도 하죠. 그래서 화가 나는 모양입니다. 기사들의 댓글을 읽어보면 어느 한 사람을 거의 사이코 수준으로 몰아가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이 사람이 과연 이 댓글들을 읽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까 생각하면 조금 아찔하기도 하죠. 많은 사람들은.. 2023. 1. 7.
아웃도어 라이프의 핵심 - 몸과 마음의 평안 (mindfulness) 수만년 전 우리 선조들은 동굴에서 살았고 수렵 채취 활동을 하며 생존했으며 그 와중에도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뇌의 형태와 지금 우리의 그것과는 별반 다르지 않다고도 하지요. 점점 현대사회 변화에 맞춰 진화하고 적응해가고는 있지만 뇌 가장 안쪽 부분, 동물로 따지면 생존과 번식에 관여하는 부분은 여전히 과거 방식을 답습하고 있다 합니다. 우리가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과거에는 야생짐승, 독사들이었고 그것들과 마주치면 대부분의 에너지가 원래 작용하던 곳을 떠나 근육으로 몰려들고 근육은 긴장하고 어떻게든 달아나거나 싸울 준비를 한다고 하죠. 원래 우리 에너지가 많이 쓰이던 곳은 우리의 내장기관이나 면역체계 등 중요한 부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현대사.. 2023.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