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생3

속도의 역설 - 급증하는 한국의 우울증 환자 오랜 시간이 지났다. 태어나 부모의 품 안에서 유아기, 청소년기를 겪었고 이후 독립하고도 한참의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분명히 해둘 게 있다. 지금 우리의 정신과 마인드를 지배하는 것은 우리의 타고난 성향 + 성장환경의 영향이다. 우리는 급속하게 발전한 한국의 국민이고 우리 앞 세대들은 정말 피땀 흘려 노력해서 가문의 부와 명예를 쌓고자 노력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걸 보고 자랐던, 그리고 그렇게 배웠던 우리 역시 그러한 의식을 대부분 자아 밑바탕에 깔아두고 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잠시 창 밖을 보면서 생각해보라. 최근 행복하다고 느낀 적이 많은가. 지금의 삶은 충분히 만족스러운가. 인생이 흘러가는대로 그대로 감사하며 살고 있는가. 나에게 다가오는 이 현실이 아름다운가 버거운가. 나보다 잘난 사.. 2023. 2. 2.
열등감 우울감 분노 장애에서 손쉽게 벗어나는 방법이 ... ?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독 자살을 많이 한다고 한다. 그리고 살면서 행복하지 않다고 대답하는 비율도 유독 높다고 한다. 이 둘은 상관관계가 있을까, 없을까. 자살율은 인구 10만명 당 자살 건수를 통계낸 것이다. 그나마 2011년도에 30명이 넘던 것이 지금은 26명 정도로 내려오긴 했다. 이것으로는 체감이 잘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루 38명 정도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있다. 특히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률 1위는 암이나 교통사고 따위가 아닌 바로 자살이다. 이건 정말로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봐야 한다. 왜 우리는 암이나 전염병에만 그토록 열을 올리는가? 사실 정말로 심각한 것은 우울증을 원인으로 한 자살이 아닌가? 이쯤되면 그냥 자살은 어쩔 도리가 없다고 정부에서 선을 그어버린 것 같기도 하다.. 2023. 1. 24.
아웃도어 라이프의 핵심 - 몸과 마음의 평안 (mindfulness) 수만년 전 우리 선조들은 동굴에서 살았고 수렵 채취 활동을 하며 생존했으며 그 와중에도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선조들이 가지고 있던 뇌의 형태와 지금 우리의 그것과는 별반 다르지 않다고도 하지요. 점점 현대사회 변화에 맞춰 진화하고 적응해가고는 있지만 뇌 가장 안쪽 부분, 동물로 따지면 생존과 번식에 관여하는 부분은 여전히 과거 방식을 답습하고 있다 합니다. 우리가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과거에는 야생짐승, 독사들이었고 그것들과 마주치면 대부분의 에너지가 원래 작용하던 곳을 떠나 근육으로 몰려들고 근육은 긴장하고 어떻게든 달아나거나 싸울 준비를 한다고 하죠. 원래 우리 에너지가 많이 쓰이던 곳은 우리의 내장기관이나 면역체계 등 중요한 부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현대사.. 2023. 1. 6.